This shows you the differences between two versions of the page.
— |
cemtool:7.5:internaltoolbox:interrnal:addmf [2014/04/25 09:03] (current) |
||
---|---|---|---|
Line 1: | Line 1: | ||
+ | [[:cemtool]]>[[:cemtool:7.5]]>[[:cemtool:7.5:internaltoolbox]]>[[:cemtool:7.5:internaltoolbox:interrnal]] | ||
+ | |||
+ | ====== addmf ====== | ||
+ | 퍼지 변수에 소속함수를 추가한다. | ||
+ | |||
+ | ===== 문법 ===== | ||
+ | <code matlab> | ||
+ | addmf(fs, "type1", "var", "mf", "type2", [params]) | ||
+ | addmf(fs, type1, varindex, "mf", "type2", [params]) | ||
+ | </code> | ||
+ | |||
+ | ===== 설명 ===== | ||
+ | 퍼지 시스템의 퍼지 변수에 소속함수를 추가하는 함수. fs는 퍼지 시스템. "type1"은 퍼지 변수의 종류로 "input", "output"의 값을 가진다. "var"는 퍼지 변수의 이름. "mf"는 추가될 소속함수의 이름이며, 기존에 그 퍼지 변수에 존재하는 다른 소속 함수들과 이름이 같으면 안된다. | ||
+ | "type2"는 소속함수의 종류로서 dsigmf, gauss2mf, gaussmf, gbellmf, pimf, psigmf, smf, sigmf, trapmf, trimf, zmf 등이 있다. [params]는 각각의 소속함수의 특징을 결정짓는 파라미터들이다. type1을 문자열 "input"/"output" 대신 1/0으로 쓸수도 있다. 그리고 퍼지 변수 이름대신 퍼지 변수의 인덱스를 써도 된다. 변수의 인덱스는 showvar 함수를 이용해 알 수 있다. | ||
+ | |||
+ | ===== 예제 ===== | ||
+ | <file matlab ex.cem> | ||
+ | newfcs("a","tipper","mamdani"); | ||
+ | addvar("a","input","service",[0 10]); | ||
+ | addmf("a","input","service","poor","gaussmf",[1.5 0]); | ||
+ | addmf("a","input","service","good","gaussmf",[1.5 5]); | ||
+ | addmf("a","input","service","excellent","gaussmf",[1.5 10]); | ||
+ | showmf("a", "input", "service"); | ||
+ | </file> | ||
+ | ===== 관련함수 ===== | ||
+ | [[cemtool:7.5:internaltoolbox:interrnal:addvar]] [[cemtool:7.5:internaltoolbox:interrnal:editmf]] [[cemtool:7.5:internaltoolbox:interrnal:rmmf]] [[dsigmf]] [[gauss2mf]] [[gaussmf]] [[gbellmf]] [[pimf]] [[psigmf]] [[smf]] [[sigmf]] [[trapmf]] [[trimf]] [[zmf]] | ||
+ | |||